본문 바로가기

중남미세상/▶ 중남미 이슈

문명을 거부한 브라질 원주민을 지켜라

브라질에는 아직까지 문명을 거부하고 원시적인 전통생활을 이어가고 있는 원주민 부족이 적지 않습니다. 

 

브라질은 이들 부족의 권리를 헌법이 보장해 보호정책을 펴왔는데요. 

 

문명을 거부한 원주민 부족들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법안이 최근 하원에서 발의되고 상임위원회를 통과해 걱정을 자아내고 있습니다. 

 

문제의 법안은 브라질 하원 헌법위원회를 통과해 이제 본회의 처결을 앞두고 있는데요.

 

내용인즉 문명을 거부한 원주민 부족과의 접촉을 예외적이지만 허용한다는 것입니다. 

 

사정을 이해하기 위해선 우선 1988년 개정된 브라질 헌법의 내용을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1988년 개정된 브라질 헌법은 문명을 거부한 원주민 부족들의 자기결정권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원주민들이 스스로 문명과의 접촉을 거부하고 원시적 전통생활을 선택했으니 최대한 간섭하지 말아라~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이런 내용인 셈이죠. 

 

그래서 그간 브라질 정부는 전통생활을 하는 원주민 부족에 대해선 무간섭, 무접촉의 원칙을 정책적으로 유지해왔습니다. 

 

이번에 하원 헌법위원회를 통과한 법안도 헌법의 기본적인 정신은 계승하고 있습니다. 

 

문명을 거부하고 전통생활을 이어가는 원주민 부족의 자유와 생존 방법을 국가와 민간사회는 존중해야 하고, 최대한 접촉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는 것이죠. 

 

그런데 예외규정을 두고 있습니다. 의료서비스와 공익을 위한 국가적 액션에선 이들 부족과 접촉해도 된다고 말이죠. 

 

전문가들은 이 예외규정 중에서도 특히 <공익을 위한 국가적 액션>이라는 표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표현이 너무 추상적이고 애매해 사실상 무제한적인 접촉을 허용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입니다. 

 

사실 맞는 말입니다.. 공익이라는 게 얼마나 광범위한 개념입니까... 공익을 빙자(?)해  문명을 거부하고 살아가는 원주민 부족들에게 얼마든지 접근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아마존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벌목회사나 광산업체 등이 문명을 등지고 살아가는 원주민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고 우려하고 있는데요. 

 

이게 보통 위험한 게 아니라고 합니다. 

 

당장 원주민들의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일이라고 하니 우려는 절대 기우가 아닌 것이죠. 

 

원주민들의 권리를 보장하는 쪽으로 헌법이 개정되기 전, 그러니까 1988년 전의 기록을 보면 구체적인 전례를 발견할 수 있는데요. 

 

문명사회와 교류하지 않고 살던 원주민 부족이 외부인과 접촉한 뒤 독감이 유행하는 바람에 원주민들이 몰살을 당하듯 죽어버린 사례가 있었습니다. 

 

복수의 원주민 부족에서 부족민 90%가 불과 48시간 만에 독감에 걸려 사망한 사건이었는데요. 정말 끔찍한 비극이었죠. 

 

원주민들의 면역력이 약해 벌어진 일이었습니다. 

 

외부인과 접촉 없이 살다 보니 부족민들의 면역력이 약해져 독감이 엄청난 인명피해를 초래한 것입니다.

 

브라질은 지금 코로나19로 곤욕을 치르고 있는데 비슷한 사태가 벌어지지 않는다고 아무도 장담할 수 없는 일입니다. 

 

브라질에서 문명을 거부하고 원시적 전통생활을 하는 부족은 현재 최소한 114개에 달한다고 하는데요. 

 

이들 부족들은 대부분 아마존에 살고 있다고 합니다. 

 

아마존에서 전통생활을 하며 평화롭게 살아가고 있는 원주민들, 굳이 그들을 찾아가 괴롭힐 이유가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