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남미여행을 떠나는 분들이 꽤 많으시더라구요.
제가 운영하는 스페인어 스터디에도 남미여행을 앞두고 스페인어를 배우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한국과 남미는 결코 가까운 거리가 아니기 때문에 미지의 세계를 여행하는 것 같은 독특한 맛이 있다죠^^
우리가 남미여행을 가려면 비행기를 이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배를 타고 여행을 한다면 훨씬 운치는 있겠지만 몇 달씩 선박여행을 하긴 힘드니까요 ㅠㅠ)
하지만 남미사람들은 자동차를 타고 남미여행을 할 수도 있습니다. 육지로 모두 연결돼 있으니까 중간에 길이 짤릴(^^) 걱정도 없고 자유롭게 원하는 곳을 맘껏 돌아볼 수 있으니까 자동차 매력이 보통이 아닙니다. 길을 가다 피곤하면 자동차에서 그냥 자버려도 되고 말이죠^^
낡은 폭스바겐 딱정벌레(비틀)을 타고 낭만적으로 남미를 여행하고 있는 페루의 부부가 화제입니다.
부부가 타고 다니는 이 자동차의 정체가 캠핑카라는 사실도 재미있습니다.
하비에르 레갈라도라는 이름의 남자와 부인, 14개월 된 딸이 어설픈(^^) 캠핑카를 타고 남미를 여행하고 있는 주인공입니다.
가족이 캠핑카를 타고 남미여행에 나선 건 벌써 1년 전이라고 하는데요. 최근에는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에 입성했습니다. 가족은 몬테비데오에 잠시 머물다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로 넘어갈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벌써 다음 루트도 확실하게 정해놓았군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갔다가는 칠레, 볼리비아, 페루, 에콰도르,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등을 차례로 방문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칠레로 가려면 안데스산맥을 넘겠네요.
자신의 고국인 페루에 잠시 들리는 일정을 잡아놓은 것도 흥미롭구요.
재미있는 건 이 가족이 남미여행을 하면서 타고다니는 자동차입니다. 자동차에 관심이 있는 분은 잘 아시겠지만 이 차는 폭스바겐에서 만들어 세계적으로 히트를 친 구형 비틀입니다. 우리나라에선 딱정벌레라고도 하죠.
크기는 요즘 나오는 신형 비틀과 비슷합니다. 내부 크기는 2제곱미터 정도 한다나요.
그런데 이 자동차가 캠핑카라면 믿겨지시나요?
사진을 보면 자동차 뒤쪽으로 사다리가 설치돼 있고 작은 물탱크가 올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것만 보아선 캠핑카라는 게 실감이 나지 않죠. 그럼 자동차 내부를 살짝 살펴볼게요.
캠핑카의 운전석입니다. 요즘 자동차라면 네비가 있어야 할 곳에 액자가 하나 달려 있는 것 외에는 특별할 게 없네요.
그러나 뒤쪽을 보면.... 짜짠~~~
어떤가요? 정말 어설프지만 살림살이가 정리돼 있습니다. 전자레인지도 있고... 수도꼭지도 있고... 작지만 간단한 음식을 만들기엔 충분합니다. 세수나 면도 정도도 자동차 안에서 해결할 수 있다고 하네요. 무선 인터넷도 연결돼 있구요.
잠자리로 그닥 불편하지 않다고 합니다. 운전석과 조수석을 개조해서 의자를 빙글 돌리면 침대처럼 펴진다고 하네요.
캠핑카라는 말이 마냥 과장된 표현은 아니죠?
이 비틀은 이미 30년이나 된 구식 털털이랍니다. 가족은 남미여행을 위해서 이 차를 구입해 캠핑카로 개조했다고 하네요. 직접 작업을 했다고 하니까 비용은 크게 들지 않았을 것 같아요.
중요한 건 이 엉성한 캠핑카가 남미여행 중에 수많은 추억거리를 만들어주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세 가족이 브라질 아마존에 들어갔을 때의 일입니다. 갑자기 자동차 시동이 걸리지 않더랍니다. 남자가 낑낑대면서 자동차를 정비하고 있는데 갑자기 원주민들이 나타났습니다. 인디언들을 만난 것입니다.
그런데 그 인디언들이 그렇게 친절하게 대해줬다고 하는군요. "밥 먹었니?"라고 물어보길래 배가 고프다고 했더니 염소를 잡아주더랍니다. 덕분에 부족에 이틀 동안 머물면서 실컷 포식을 했다는군요 ㅋㅋ
부족장은 가장 가까운 마을에 연락을 해서 자동차를 고치게 도움을 주기도 했답니다.
가족은 이 캠핑카를 타고 미국까지 올라갈 예정이라고 합니다. 미국에 가기 전에 중남미 모든 국가를 경유할 예정이라고 해요. 정말 평생 잊지 못할 남미여행이겠네요.
아! 여행경비는 어떻게 해결하고 있냐고요?
부부에게 저축한 돈이 많아서 여행을 다니는 건 아닙니다. 브라질에 들어갈 때 호주머니엔 단돈 2달러밖에 없었다고 해요 ㅋㅋ
남미여행을 하면서 필요한 경비는 그때그때 알바 등으로 해결하고 있다고 합니다.
중남미에선 스페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인 것 같습니다. (브라질은 포르투갈어를 사용하지만 스페인어권 사람들과는 통역 없이 의사소통이 됩니다. 그만큼 비슷한 구석이 많기 때문이겠죠?)
아무튼 참 부럽네요. 이렇게 낭만적인 남미여행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말이죠..
언젠가 저도 한 번 용기를 내어봐야겠습니다. 자동차를 타고 아르헨티나에서 미국까지 올라가는 여행 말입니다^^
'중남미세상 > ▶ 관심집중 화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루가 지카바이러스 막으려 무료로 나눠주는 이것은? (0) | 2016.05.06 |
---|---|
쿠바에서 맥주를 구경하기 힘들어진 이유 (0) | 2016.05.03 |
금광개발 횡포 막은 페루의 여자농부, 환경노벨상 수상 (0) | 2016.04.26 |
베네수엘라가 시간대를 변경하기로 한 이유는? (0) | 2016.04.19 |
남미에 부는 동성결혼 바람 (0) | 2016.04.14 |